‘Master KOREAN 5’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II) 5급 수준에 맞는 고급 단계의 필수 어휘와 문법으로 구성하였고, 다채로운 시각 자료와 음성 자료를 통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 한국어 완전 정복서이다. ‘Master KOREAN 5’에서는 한국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필수적인 주제 영역 4가지(한국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한글과 한국어, 한국의 지리, 한국의 문화유산) 인류 보편적 차원에서 중요성이 높은 주제 영역 6가지(현 인류 사회의 변화와 생활과 경제, 인간과 자연, 건강한 삶, 매체와 사회, 과학과 기술)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제 영역을 바탕으로 업무를 수행하거나 학업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어휘, 문법과 표현, 과제를 선정하여 배치하였다. 또한 주제 영역과 관련이 있는 문화 요소를 선정하여 전문 영역에서 한국어로 의사소통하는 데에 무리가 없도록 하였다. 학습자가 이 책의 단계를 충실히 따른다면 고급 단계 한국어 학습의 목표에 효율적으로 다다를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리뷰
▪ 한국어능력시험(TOPIK II) 5급에 도전할 수 있는 체계적인 학습!
Master Korean 5를 마칠 경우 TOPIK II 5급에 도전할 수 있도록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학습을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다.
▪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다양하고 재미있는 과제 활동!
다년간 축적된 집필진의 한국어 교육 경험과 실증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학습자가 과제 수행을 통해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 적절한 담화를 구성하는 연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각 장의 상황에 맞는 다채로운 시각 자료와 음성 자료 제공!
학습 효과를 높여 주는 풍부한 삽화와 사진, 그리고 전문 성우가 참여한 MP3 음성 자료를 통해 보다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다.
▪ 고급 단계의 학습자에 적합한 주제로 된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한국어 능력 향상!
한국의 사회 관련 주제 4가지와 인류 보편적 주제 6가지로 된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사회의 전문적인 영역에서 업무를 수행하거나 대학에서 학업을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한국어 능력을 갖출 수 있다.
발간사 02
일러두기 04
목차 06
교재 구성표 08
01장 변화하는 가족 11
01 결혼관의 변화 12
02 1인 가구 22
03 가족 관계의 변화 32
02장 한글과 한국어 43
01 한국어의 특징 44
02 속담과 관용어 54
03 언어 학습 64
03장 다양해지는 사회 75
01 고령 사회 76
02 다문화 사회 86
03 세계화 시대 96
04장 생활과 경제 107
01 합리적 소비 108
02 착한 소비 118
03 마케팅과 소비 128
05장 인간과 자연 139
01 동물과 인간 140
02 환경 오염과 환경 보호 150
03 환경과 개발 160
06장 건강한 삶 171
01 건강과 스트레스 172
02 몸과 마음 182
03 질병과 치료 192
07장 매체와 사회 203
01 독서 문화의 미래 204
02 인터넷과 사회 214
03 1인 미디어 224
08장 과학과 기술 235
01 발명과 특허 236
02 첨단 과학과 생활 246
03 과학 기술과 윤리 256
09장 한국의 지리 267
01 한반도 268
02 서울 278
03 지역과 축제 288
010장 자랑스러운 문화유산 299
01 세계 문화유산 300
02 소중한 전통문화 310
03 문화유산과 관광 산업 320
부록
정답 332
듣기 지문 341
색인 365
정치학박사(한국어교육정책 전공)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학과 교수
세종학당재단 이사
전 국제한국어교육학회장
전 한국어교육기관대표자협의회장
문학박사
상명대학교 국제언어문화교육원 코디네이터
문학박사
상명대학교 국제언어문화교육원 강사
문학박사
상명대학교 국제언어문화교육원 강사
저서
Master Korean 2-1~4-1, 5 (공저), 2014~2019, 다락원
몽골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한국어 4~8 (공저), 2018~2019, Munkhjin useg
한국학 박사과정 수료
상명대학교 국제언어문화교육원 강사
한국학 박사과정 수료
상명대학교 국제언어문화교육원 강사
한국학박사 수료
상명대학교 국제언어문화교육원 외래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