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에디터 선정, 2019년 로맨스 소설 1위!★
“북클럽의 첫 번째 규칙은,
북클럽에 대해 발설하지 않는다.”
세상에서 가장 은밀한 북클럽의 연애고수 만들기 프로젝트
현실 커플의 공감 백배 섹시 로맨틱 코미디
누군가에게 ‘연애를 글로 배운 사람’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연애 관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제대로 된 커뮤니케이션도 못하고, 상대방의 마음도 잘 모르며, 계속 연애에 실패하는 사람’이라는 걸 에둘러 말하는 것일 터. 그러나 여기, 연인과 좋은 관계를 잘 유지하고 연애를 잘 하고 싶어서 글을 읽는 사람들이 있다.
로맨스 소설 《브로맨스 북클럽》에는 오직 연애를 위해 모여서 책을 읽는 남자들이 등장한다. 여성이 주 독자층인 로맨스 소설이야말로 여성이 좋아하는 이상적인 남성의 모습과 연애의 양상이 담겨 있다고 생각한 남자들이 비밀스레 모여서 북클럽을 만든 것! 이 재치 있는 상상에서 시작된 《브로맨스 북클럽》은 현실 커플들이 가질 법한 갈등과 고민을 리얼하게 표현하고, 유쾌하고 섹시하게 풀어낸다. 미국에서 출간된 후 로맨스 소설 독자들에게 바로 주목을 받아 인기를 얻었고, 2019년 아마존 에디터가 뽑은 로맨스 소설 1위에 오르며 한 해를 대표하는 대표 로맨스 소설에 등극했다.
로맨스 소설이 남자를 구원하리라?
미국 프로야구 선수인 개빈은 아내 세아로부터 헤어지자는 말을 듣는다. 완벽한 육아와 가정주부 역할을 해내고 있는 줄 알았던 그녀가 실은 불행한 결혼생활을 꾹꾹 참으며 모든 것을 연기했다고 한 것. 술김에 동료 야구선수 델에게 이를 고백하고, 이에 델은 믿을 수 없는 제안을 한다. 자신의 북클럽에 들어오라는 것.
농담인 줄 알았던 개빈은 이름만 대면 아는 유명 스포츠선수, 정치가, 기업가가 북클럽 멤버라는 사실을 듣게 된다. 모두 북클럽의 도움으로 문제가 많았던 연애 생활, 결혼 생활이 행복해졌다는 사실도 함께. 마지못해 북클럽에 들어가겠다고 한 개빈에게 그들은 여자들이 읽는 로맨스 소설을 하나 던져준다. 그 안에 답이 있다나? 이게 무슨 말도 안 되는 황당한 소리인가. 하지만 진지한 친구들의 설득에 개빈은 의심 반, 불신 반으로 책을 폈다. 제목은 《백작부인 사로잡기》. 표지 속 헐벗은 18세기 영국 백작은 개빈에게 세아의 마음을 돌리는 법을 알려줄 수 있을까?
누군가와 관계를 맺고 싶다면
《브로맨스 북클럽》 안에서 로맨스 소설은 실생활을 이롭게 만들어줄 매뉴얼이다. 남자 주인공의 노하우를 배워서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뭉친 남자들의 유일하고 절대적인 지침서다. 평생 눈길도 안 줬을 책을 읽으면서 남자들은 궁금해하지도 않았던 여자의 취향도 조금씩 알게 되고, 아예 몰랐을 여자의 언어를 이해하기 시작한다. 남의 눈치 보느라 시도도 안 해본 호박 라테를 마셔보기도 하고, 핀테레스트를 뒤적이기도 하면서 말이다.
로맨스 소설을 읽으라는 북클럽 멤버들의 조언이 처음에는 황당했을지언정, 결국 그 과정을 통해 개빈은 전혀 다른 배경을 가진 사람들끼리 관계를 맺고 사는 사회에서 타인의 배경과 언어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로맨스 소설의 팬인 작가는 자신이 가장 잘 아는 것으로 이 보편적인 메시지를 유쾌한 로맨틱 코미디 안에 훌륭히 녹여냈다. 여기에, 사회가 여성이 좋아하는 무언가를 무시하는 태도에 대해, 사회에 퍼진 ‘남성성의 독’에 대해 남성의 입으로 직접 비판하는 장면은 작가가 작정하고 날린 어퍼컷 한 방. ‘취향 존중’이 한 단어처럼 굳어진 현대 사회에서 190센터미터의 근육질 야구 선수가 밑줄 그으며 열심히 로맨스 소설을 읽는 모습은, 어색하지만 괜찮다.
그래서, 부인과의 두 번째 연애를 위해 개빈은 영국 백작에게 어떤 가르침을 받았을까? 그의 지침서 《백작부인 사로잡기》를 책 속 책 형식으로 살짝 맛볼 수 있으니, 직접 확인해보시길.
[책 속에서]
첫 문장
개빈 스콧이 좀처럼 술을 마시지 않는 데는 이유가 있었다.
P.16
모든 배우자는 결혼 생활을 하다가 어떤 시점에선 서로에게 낯선 존재가 돼. 인간은 모두 진화 과정에 있지만 전부가 같은 속도로 변화하지는 않아. 해결할 수 없다고 생각했던 문제들이 사실은 그저 지나가는 하나의 과정일 뿐이라는 걸 깨닫지 못해서 이혼한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P.19
착하게 사는 데 질릴 대로 질린 여자만큼 세상에 강한 건 없다.
P.51
남자들은 전부 얼간이야. 우린 도통 여자들 속은 모르겠고, 짜증 난다고, 진짜 원하는 게 대체 뭐냐고 불평이나 늘어놓잖아. 우리가 관계를 망치는 건 그걸 알아내는 게 너무 어려운 거라고 스스로를 납득시켜서야. 근데 진짜 문제는 바로 우리야. 우린 남자는 감정을 느끼고 울고 속내를 드러내면 안 된다고 생각해. 남녀 관계에서 그런 감정 노동은 전부 여자들이 해주길 바라지. 그러면서 그녀들이 우릴 포기해버리면 대체 문제가 뭐냐고 혼란스러워해.
P.52
로맨스 소설을 읽으면 나와 내 아내가 세상을 얼마나 다르게 보는지, 여자들 언어로 말하는 게 얼마나 필요한지 알 수 있지. 너희 둘은 서로 다른 언어로 말하고 있는 거야. 로맨스 소설을 읽으면 네 아내가 쓰는 말을 배우게 될 거야.
P.73
이런 거 좋아한다고 창피해하지 마. 호박 라테를 거부하는 건 우리 삶에서 가장 재미없는 부분에까지 남성성이라는 독이 퍼져 있다는 아주 완벽한 사례라고 할 수 있어. 여자들 대다수가 뭔가를 좋아해, 그럼 우리 사회는 자동적으로 그걸 조롱해. 로맨스 소설도 그렇지. 여자들이 그걸 좋아한다고 하면 농담거리가 된다니까.
P.114
사랑에 늦은 때란 없어. 절대.
P.139
배경. 너를 만나기 전에 그녀가 겪은 일들이 지금 그녀가 어떤 행동을 하는 바탕이 되는 거야. 언제 어디가 됐든 우리는 그동안의 경험이 합쳐 이루어진 존재야. 그래서 어떤 일에 대한 반응은 그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지지.
P.167
“대답을 듣고 싶지 않았으면 왜 물어본 거야?”
“알고 싶었다고 해서 대답에 상처받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잖아.”
P.188
이 일의 핵심은 그녀의 마음을 사로잡는 거야. 그녀를 꾀는 게 아니라.
P.195
왠지 기분이 좋지 않았다. 누군가 자신의 좋은 소식을 전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걸 안다는 것.
P.247
우리 안에는 스스로 잊고 있는 무언가가 있어. 다른 사람 안에서 찾아낼 때까지는 우리 안에 있어도 인정하기 싫은 그것, 어쩌면 우리가 잃어버리고 있다는 것조차 모르고 있는 그것. 네가 이 문제를 그녀와 함께 풀어나가고 싶다면 그녀 안에 잃어버린 게 뭔지 알아내야 돼.
<브로맨스 북클럽> 도서 본문
아주 어린 나이에 할머니가 읽던 책을 슬쩍 꺼내 보며 로맨스 소설을 처음으로 경험했다. 오랜 시간 언론계에서 일하며 수상 경력도 쌓았지만, 슬픈 결말을 너무 많이 써야 했기에 ‘언제나 행복한 결말’을 보장해주는 이야기로 돌아가기로 했다. ‘재미있고, 사랑스럽고, 살짝 마음이 아픈 이야기’라고 묘사된 바 있는 그녀의 작품들에는 최종 결정을 내리는 여자와 눈물 보이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남자, 그리고 개가 늘 등장한다. 작가는 현재 스포츠기자인 남편과 짓궂고 재미있는 딸, 그리고 꼭 아기처럼 품에서 얼러줘야 잠드는 응석받이 몰티즈랑 함께 미시건에서 거주 중이다. 거의 종일 글을 쓰며, 쓰지 않을 때는 요리를 하거나 차에 딸을 태우고 활동적인 일을 찾아 온 동네를 쏘다닌다.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다시 대학에 들어가 영어영문학을 전공했다. 한국어와 영어의 매력을 전하고자 어학원에서 다년간 아이들을 가르쳤고, 현재는 번역가로 활동하면서 지역 도서관에서 아이들에게 영어그림책의 매력을 전하는 수업을 하고 있다. 좋은 책을 발견하고 번역하고 읽을 수 있는 지금의 일상을 사랑한다. 옮긴 책으로는 《더 크라이》, 《내 꿈은 세계평화》, 《나는 왜 진짜 친구가 없을까?》, 《우리들의 다정한 침묵》, 《나는 왜 자꾸 미룰까?》, 《엄마 카드로 사고 쳤는데 어쩌지?》 등이 있다.